시청각 랩 (AVP lab)
AVP 2013~2019
avpavilion@gmail.com
시청각 랩(AVP lab)은 연구 공간이자 작품, 작가와 대화하는 창구로, 계간 시청각을 만드는 오피스 개념의 전시 공간이다.
AVP lab, where the exhibition is hosted, is an office-styled exhibition space that publishes AVP Monthly, in addition to serving as a research space and avenue to connect with artwork and artists.
서울 용산구 용문동 38-118 1층
(도로명) 효창원로 25길 9
1F, 38-118 Yongmun dong,
Yongsan-gu, Seoul
KAKAO MAP / NAVER MAP
시청각 랩 AVP LAB
전시 문서 Exhibition Document
계간 시청각 AVP Quarterly
출력 Print

쥬노 김
‹사물화되는 운동거지›
퍼포먼스-전시

시청각 랩
 
2023년 7월 15일 (토) - 7월 22일 (토)
13-19시
 
퍼포먼스 일정
7월 15일 (토) 19시
7월 19일 (수) 19시
7월 22일 (토) 19시 (공연 후 토크)
* 퍼포먼스 시간과 언어: 45분 / 국어, 영어
 
작가: 쥬노 김
기획/큐레이터: 현시원
어시스턴트 큐레이터: 서예원
그래픽 디자인: 심규선
테크니션: 강신대
의상 제작: 정호진
사진 촬영: 오석근
후원: 데니시 아트 파운데이션, 한국문화예술위원회

Jeuno Kim
Movements That Matter
Performance-Exhibition

 
AVP Lab
 
15 July 2023 - 22 July 2023, Sat-Sat
1-7pm
 
Performance:
7pm Sat 15 July
7pm Wed 19 July
7pm Sat 22 July + Talk
* Performance time and language: 45min / English and Korean.
 
Artist Jeuno Kim
Curator Seewon Hyun
Assistant Curator Yewon Seo
Graphic Designer Kyusun Shim
Technician: Sindae Kang
Costume Technical Support: Hojin Jeong
Photography: Sukkuhn Oh
Supported by Danish Arts Foundation, Arts Council Korea
 


 
시청각랩은 2023년 7월 15일부터 22일까지 쥬노 김의 레지던시이자 전시/퍼포먼스를 연다. 그의 작업은 동일한 이름을 지닌 몇 번의 작업과 관련되어있다. 2019년 쥬노 김과 현시원의 모임인 “1+1=trekant”는 서울의 창고소극장을 빌려 조각가 최하늘, 디자이너 심규선, 프로듀서 신진영 등과 쥬노 김의 퍼포먼스 ‹Movements That Matter›를 열었다. 2020년 11월 팬더믹이 한창이었던 기간에는 다양한 구글 드라이브에 쌓인 대화를 과일 깎듯 골라 온라인 퍼포먼스를 선보였다. 그때 쥬노 김은 덴마크에서 온라인 퍼포먼스를, 심규선, 구재회, 현시원은 서울에서 전시를 열었다. 철저한 방역기간이라 실제 공간을 찾아온 사람은 열 손가락에 꼽을 지경, 거리에는 사람이 없었다.
 
2023년 7월 5일 큰 가방을 들고 언덕을 올라 쥬노 김은 도착했다. 작가는 시청각, 시청각랩, 서울의 어느 공간에 거주하며 자신의 이동 경로를 만든다. 대화한다. 듣고 움직인다. ‘사물화의 운동거지’라는 새로운 모국어 이름이 붙은 이 작업은 매번 다른 ‘버전’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내일에 관한 일기, 과거의 일기이지만 한 번도 경험하지 않은 듯. 쥬노 김은 공간의 이야기와 개인, 작가와 협력자, 공간과 거주자의 이야기를 펼쳐 놓는다. 수많은 예술가, 선생, 학생, 어린이와 노인의 변화 사이에 있는 개인의 ‘거주 드로잉’들이다. (글 현시원)
 
 
퍼포먼스와 전시에 대한 글:
‹사물화되는 운동거지 Movements That Matter›는 거주하고 협력하는 공간이 우리가 살아오고 기억하는 이야기와 어떻게 직관적으로 연결되는지 탐구하고자 한다. 이 작업은 텍스타일, 드로잉, 소품, 사운드, 텍스트를 스코어로 이용하는 전시이자 퍼포먼스이다. 전시 기간 중 시청각랩에 거주하는 작가 쥬노 김의 전시/퍼포먼스는 기억의 모호함이 어떻게 퀴어적 정체성 구성에 조형적인 역할을 하는지 이야기한다. 이번 전시/퍼포먼스는 건축적으로 직조된 기억의 집합으로서, 일련의 수치심이 각자가(우리가) 내리는 결정을 어떻게 정의하도록 하는지 살핀다.
 
쥬노 김은 그간 텍스트, 공간, 퍼포먼스, 예술 교육 등 다양한 범위를 다뤄왔다. 특히 예술 교육과 퍼포먼스-전시의 형식에 대해 탐구하는 프로젝트의 마지막 장을 시청각/시청각랩의 맥락으로 가져와 운용할 것이다. 작가는 나네트 얀누치-마시아(Nanette Yannuzzi-Macias), 이본 레이너(Yvonne Rainer), 케리 제임스 마샬(Kerry James Marshall), 메리온 본 오스튼(Marion von Osten)와 같은 교육자로서 작가에 대해서 서술할 것이다. 이들은 작가의 직업적, 예술가적 정체성 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작가는 퍼포먼스-전시 기간 동안 시청각랩에서 그녀가 배열한 총체적인 설치(installation) 안에서 생활하고, 일하고, 전시하고, 활력을 불어넣고, 퍼포먼스할 것이다. ‘퍼포먼스-전시’는 작업이 전시되는 위치와 특정한 때가 되는 장소와 시간에 대해 다각도로 사고하기 위해 실험해 온 형식이다. 작가는 작업의 개념화와 제작 과정이 예술가의 노동에서 가장 관대하고 생산적인 순간이라고 생각하며, 본 프로젝트는 관객과 공유할 네 개의 과정 중의 공공적 선언이다.
시청각/시청각랩은 작업의 출발과 과정, 끝을 같이 한다. 작가는 아트 스페이스 아스트리드 노아크의 아틀리에(Astrid Noack’s Atelier)에서 열리는 2024년 개인전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그간 여러 작업을 함께 해온 시청각/시청각랩의 공간과 시간을 연결한다. 그가 2024년 개인전을 가질 공간은 덴마크 예술가이자 조각가인 아스트리드 노흐(Astrid Noach, 1888-1954)의 스튜디오였다. 작가는 시청각랩 공간을 퍼포먼스의 무대이자 전시 공간으로 상대하며, 공간을 변화시킨다. 2023년 7월 동안의 이곳은, 쥬노 김의 임시 아트 스튜디오이자 가족으로부터 피난처이기도 하다.
 
작가의 텍스트/원고, 의상, 소품, 안무는 ‹사물화되는 운동거지›의 구성 요소다. 그가 오랫동안 탐구한 예술적, 교육적 형식으로서의 ‘퍼포먼스-전시’는 작업의 라이브-스코어링의 일종으로 기능한다. 가장 중요한 곳은 이곳이 그가 2013년부터 방문했던 시청각, 시청각랩이며 전시이자 퍼포먼스, ‘전시/퍼포먼스’인 이곳이 글쓰기와 공간, 방문을 통해 작가가 이 공간에 상주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만들어질 것이라는 점이다. (글 쥬노 김)
 
 
쥬노 김
쥬노 김은 코펜하겐과 말뫼에서 활동하는 미술가이자 교육자, 저술가이다. 그는 여성해방 신학과 클래식 음악 등을 공부했으며, 이전에는 라디오 dj로 활동한 바 있다. 현재 덴마크 왕립 미술 아카데미에서 순수미술학과의 학장이며 대학 부총장으로 근무한다. 과거에는 오덴세에 위치한 후넨 예술 아카데미의 교수, HDK-Valand 예술 디자인 아카데미와 예태보리 대학교에서 순수미술학과의 학장 등으로 일했다. 그는 다양한 예술가, 큐레이터 협업의 구조를 만들어오며 퍼포먼스, 워크숍, 글쓰기, 전시 만들기 등의 방법론을 자신의 ‘가르치기 방법론’ ‘정체성 탐구’에 적용하고 있다. 작가의 사운드, 퍼포먼스, 텍스트, 비디오 작업은 지리, 번역, 내러티브를 통해 매개되는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로써 기억의 모호함과 그것이 형성하는 역할을 탐구한다. 그의 연구 분야는 재현(representation)의 문제, 만화 그림의 지식, 페미니스트 교육학, 그리고 디아스포라적 정체성을 지향한다. 2009년부터 스웨덴 예술가 에바 에이호른과 페미니스트 트랜스미디어 그룹인 크랍슈타트(Krabstadt)를 만든 그는 2020년 부산비엔날레, 2021년 저널 파스(Journal Parse) 등에서 프로젝트를 선보였다. 2018년 이후 쥬노 김은 큐레이터이자 필자인 현시원과 연구의 형태인 ‘1+1=trekant’라는 팀을 만들어 협력해왔다. 이 팀은 페미니스트의 배우기 방법론의 대화를 통해 수행적인 실천으로서의 ‘큐레토리얼(the curatorial)’을 탐구해왔다. 2018년 이후 쥬노 김과 현시원은 오슬로 예술 아카데미, 서울의 창고 소극장, 코로나 판데믹 시기 디지털 공간 등 각각 다른 장소에서 작업을 이어왔다. 둘은 유머러스하면서도 시적인 정신에 동조한다. ‘1+1=trekant’의 대화는 서로의 현실과 정체성, 역사 및 국가에 대한 이해에 침투하는 정치적, 사회학적 및 교육학적 방법을 가로지른다.
 
 

AVP Lab hosts Jeuno Kim’s performance-exhibition from July 15th-22nd 2023. In this period Kim has been in a self-made residency at AVP-Lab and will share with the audience the latest chapters from her long-term project which has had previous manifestations in collaboration with curator Seewon Hyun. In 2019 Kim and Hyun minted their ongoing dialogue framework, “1+1=trekant”, and in that pretext initiated a collaboration with Changgo Theatre with an interest in transforming the theater space into an exhibitionery space where “Movements That Matter” first premiered chapters 1-5 and artist Haneul Choi’s sculptures were installed both on stage, as well as in the dressing room and in the lobby. Other participants in that context included graphic designer Kyusun Shim, and producer Jinyoung Shin. In November 2020 during the Covid pandemic, Kim and Hyun experiment with making an online performance-exhibition based on selective peeling of the archived strands of their dialogue stored in their shared googledrive. While Kim was performing online from Copenhagen, artist Jaehe Gu joins the team of Kyusun Shim, and Seewon Hyun, that opened the exhibition in Seoul. It was the height of restrictions and therefore only a handful could visit the exhibition space, in an otherwise empty streets.
 
On 5th July 2023, Kim arrives at AVP Lab, dragging a big black suitcase up the small hill and her perambulations continue between AVP, AVP Lab, and her family home that become transitional passages. There are conversations. Listening and Movement. “사물화의 운동거지” is a mistranslation of a Korean term 행동거지, that comes from Kim’s process of digging around for an adequate translation of “Movements That Matter”. And in this act of translating the work into her mother tongue, a new “version” or “variation” of the piece manifests. Jeuno Kim unfolds a tale of the personal intertwined with the architectonic, interconnection of artistic collaborators and influences, and how a space is inhabited by its residents. While a diary of tomorrow yet to be is written, and the entry of a yesterday seem unlived, Kim’s “residence drawings” appear amid the changing variations of artists, teachers, students, children, and the elderly, characters that compose her everyday. (Seewon Hyun, Translation by Jeuno Kim)
 
 
Text About the Performance-Exhibition:
“Movements That Matter” is a performance work using textile, drawing, props, choreography, and text in a score to explore how the spaces we inhabit and work in are connected intuitively to stories we have lived in and remember. The performance is a gathering of architectonic memories that structure the narrative on how the nebulousness of memory has a formative role in constructions of queer identity and how shame can determine decisions we make as artists.
 
For the context at AVP, Kim will score the final chapter of the project that deals with, “Art Education”. She writes about artist-teachers such as Nanette Yannuzzi-Macias, Yvonne Rainer, Kerry James Marshall, and Marion von Osten that have been important in her own formation as an artist, while reflecting on her present realities as an arts educator.
Kim will live, work, exhibit, invigilate, and perform inside the total installation that she arranges at AVP-LAB for the period of performance-exhibition.
 
Performance-Exhibition is a format Kim has been experimenting with to think more carefully about places and times where work is made to the location and occasion of where work is exhibited. Kim finds the conceptualization and production process of an artwork to be the most generous and generative moments in an artist’s labor, and “Movements That Matter” is a public manifestation of the four works-in-process that will be shared with the public.
 
In preparation for her solo exhibition in 2024 at Astrid Noack’s Atelier, an exhibition space that is located in the former studio of a Danish artist and sculptor Astrid Noach (1888-1954), Kim occupies and transforms the AVP-LAB space to become both a stage, an exhibition space, as well as her makeshift artist studio, and a place of refuge from her family. Text/manuscript, costume, prop-objects, choreography are elements of composition in “Movements That Matter”, and the performance-exhibition functions as a kind of a live-scoring of the work, that will continue to be made as Kim guards the space. (Jeuno Kim)
 
 
Jeuno Kim
Jeuno Kim is an artist and educator based in Copenhagen and Malmö. Currently, she is the study leader of the BFA school and protector of the Royal Danish Academy of Fine Arts in Copenhagen. Previously, she has been a Professor at the Funen Art Academy, Odense, and study leader of the BFA program in Fine Arts at HDK-Valand, Gothenburg University. 
Kim is part of an artist duo with Swedish artist Ewa Einhorn, and since 2009 they have made numerous videos, performances, drawings, and installations. They are the founders of Krabstadt, a feminist transmedia project, which has been shaped through many collaborations and contexts producing animated films, computer games, performances, and an academic journal. The films have been shown in Berlinale Short Film Competition, Cannes Short Film Corner, Sarajevo Film Festival among others; and they have exhibited in venues such as Busan Biennale, Jakarta Biennial, and Malmö Museum, among others. They have also been awarded a 3 year artistic research grant from the Swedish Vetenskapsrådet, as well as the research grant from the Danish Arts Council for their investigation on animated images as knowledge and gamification of education. Kim has a background in feminist liberation theology, classical music, and has previously worked as a radio DJ. Her sound, performance, textual, and video works explore the nebulousness of memory and its formative role in questions of identity that is mediated through geography, translation, and narratives. Her research is oriented toward problematics of representation, animated images as knowledge, feminist pedagogies, and issues of living in translation required of many diasporic identities. Since 2018, together with curator and writer Seewon Hyun, Kim has been part of a research framework 1+1=trekant where they have been dialoguing on feminist learning methods, and the curatorial as a performative practice. Hyun and Kim have explored working with different places and manifested in contexts such as an art academy in Oslo, a theatre space in Seoul, and in an online-onsite digital space during Covid-19. With a nod to humor and the poetic, their conversations have traversed across the political, sociological, and pedagogical methods that permeate our realities and understandings of identity, history, and nations.